노코드 Tool에 대한 기본학습 및 비용, 대안 알아보기 – 누구나 할 수 있는 초기 기업을 위한 Owned-media 블로그 자동화(2)
지난번 게시글(PESO Media와 극초기 스타트업의 Media 마케팅 전략)에 이어서, 이번에는 블로그 자동화를 위해서 진행해야할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속적으로 언급드리고 싶은 것은 자동화라고 할지라도 콘텐츠를 한번씩은 확인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블로그의 품질이 고품질은 아니기에, "저비용으로 사용자를 유입할 창구를 만드는 것"이라면 이번 전략을 진행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지난번 게시글(PESO Media와 극초기 스타트업의 Media 마케팅 전략)에 이어서, 이번에는 블로그 자동화를 위해서 진행해야할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속적으로 언급드리고 싶은 것은 자동화라고 할지라도 콘텐츠를 한번씩은 확인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블로그의 품질이 고품질은 아니기에, "저비용으로 사용자를 유입할 창구를 만드는 것"이라면 이번 전략을 진행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활용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기 (노코드 툴)
우선 저희는 총 4가지의 서비스를 활용하여 블로그 자동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각각 서비스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서비스들은 IT업계에서는 활발하게 쓰고 있는 노코드 Tool들이기에, 서비스 종료에 대해서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 Airtable
Airtable은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담당합니다. 블로그 포스트의 제목, 내용, 태그, 카테고리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콘텐츠 캘린더를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2. Zapier
Zapier는 각 서비스 간의 자동화를 담당합니다. Airtable에서 콘텐츠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WordPress나 다른 플랫폼에 게시되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3. ChatGPT
ChatGPT는 콘텐츠 생성과 편집을 담당합니다. 블로그 포스트의 초안 작성, 제목 생성, 태그 추천 등을 자동화하여 콘텐츠 제작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4. Webflow
Webflow는 웹사이트 디자인과 배포를 담당합니다. 블로그의 시각적 요소를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블로그 자동화 프로세스
이번에는 정말로 방법론을 학습할 줄 알았으나, 노코드 툴과 같이 처음에 작업하시는 분들은 초기에 알아두셔야 하는 부분들도 있기에, 우선 초심자분들을 위해 콘텐츠를 제작해보았습니다.
블로그 자동화의 기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콘텐츠 기획: Airtable에서 콘텐츠 캘린더와 아이디어 관리
- 콘텐츠 생성: ChatGPT를 활용한 초안 작성
- 콘텐츠 편집: 수동 검토 및 품질 향상
- 자동 게시: Zapier를 통한 WordPress 자동 게시
- 성과 분석: 데이터 수집 및 개선점 도출
초심자를 위한 주의사항
노코드 툴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한 몇 가지 주의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단계별 접근: 한 번에 모든 것을 자동화하려 하지 말고, 단계별로 진행하기
- 품질 관리: 자동화라도 콘텐츠 품질은 반드시 확인하기
- 테스트: 실제 운영 전에 충분한 테스트 진행하기
- 백업: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하기
다음 단계
다음에는 정말로 어떻게 작업을 해야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노코드 툴을 활용한 블로그 자동화 구축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혹시 바로 초기 세팅이 필요하시다면 편하게 문의해주세요! STAR-T가 함께 도와드리겠습니다.
결론
노코드 툴을 활용한 블로그 자동화는 초기 기업에게 매우 유용한 전략입니다. 적은 비용으로도 지속적인 콘텐츠 생산과 사용자 유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자동화 구축에 대해 더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박정근
STAR-T 대표 컨설턴트
IT 서비스 기획 및 디자인 전문가로서, 다양한 스타트업과 기업의 성공 사례를 연구하고 공유합니다.